"비즈니스 형태의 변화와 그에 따른 IT 기술의 발전 방향"
다양한 형태 그리고 짧은 라이프 사이클이
요즘 비즈니스의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죠.
이러한 비즈니스의 형태와 니즈에 맞게
IT 기술 또한 눈에 띄게 발전하고 있습니다.
특히나 개발 방법론의 트렌드도 변화하고 있습니다.
지금까지는 폭포수 개발 방법에 의한 프로젝트 진행이 바이블이었다면,
요즘은 애자일 방법론이 꽤 치고 올라왔죠.
앞으로도 점점 비즈니스를
빠르게 구현하고
시장에 빠르게 출시하고
빠르게 피드백을 받으며
빠르게 피드백을 적용하는
형태로 변화 되고 있음을 인지한 상태에서 아래 영상을 보신다면,
피보탈에서 하고자 하는 얘기가 좀 더 마음에 와 닿지 않을까 생각됩니다.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jji5DHqafbw
세션1 - 비즈니스 변화 대응 , 조직 구조 , 개발 환경
■ 지속적인 경험 ( keyword : iteration )
- Change Frequency
- Consistent Performance
- No Downtime
- Usabilty
■ 조직의 변화
AS-IS ) 현업 / 개발 /인프라 / 운영 : 각각의 업무 성격에 맞도록 팀이 구성되어 있음
TO-BE : 현업+개발+운영 / 인프라 : 소규모 platform team 단위로 변화
■ 개발 환경 구축의 변화 ( 추상화 정도 ↑ )
- 개발자들이 ONLY 소스만 신경쓸 수 있도록 변화
■ 업무 전환
- 기존 모노리스의 한계
- MSA의 구조
- 모노리스 VS MSA
세션2 - 마이크로서비스의 여정
- Domain Driven Design
- AppTx 방법론
- MSA 관련기술
- MSA 고려사항
'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플러터[flutter] 기초 정리 1 (1) | 2020.07.22 |
---|---|
[도커/Docker] Docker란 무엇인가? (5) | 2020.02.13 |
댓글